매년 5월, 종합소득세 신고 시기가 다가오면 ‘나도 신고해야 하나?’, ‘안 하면 어떻게 되지?’ 같은 궁금증이 많습니다.
특히 신고 대상임에도 신고하지 않으면 가산세, 불이익, 세무조사까지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
✅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으면?
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다음과 같은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- 무신고 가산세: 납부할 세액의 최대 20%
- 납부불성실 가산세: 미납 기간 × 1일 0.025%
- 세무조사 대상 우선 선정
예를 들어 종합소득이 1,000만 원인데 신고하지 않았다면, 최대 200만 원의 가산세가 붙을 수 있습니다.
특히 프리랜서 소득, 유튜브 수익, 외주 디자인 등은 자동신고 되지 않기 때문에 본인이 직접 챙겨야 해요.
✅ 나는 신고 대상일까?
다음에 해당된다면 반드시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.
- 프리랜서(3.3% 원천징수 대상자)
- 재능마켓, 외주 작업, 유튜브, 강사 등 소득 발생자
- 부동산 임대, 배당·이자 소득 연 2천만 원 초과
신고 여부는 홈택스 접속 후 [종합소득세 신고] 메뉴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✅ 신고는 언제까지? 어떻게 하면 되나요?
- 신고 기간: 2025년 5월 1일 ~ 5월 31일
- 신고 방법: 홈택스 접속 후 [정기신고 작성] > 소득 항목 입력
신고를 마치면 환급 대상자 여부가 자동 계산되며, 본인 명의 계좌만 입력하면 됩니다.
✅ 실제 사례로 보는 신고 누락의 위험
2024년 한 이용자는 외주 수익 약 800만 원을 벌었지만, 신고를 하지 않은 사실이 확인되어 국세청으로부터 소명 요청을 받았습니다.
이후 가산세와 함께 납부불성실 가산세가 추가 부과됐고, 이후에는 매년 신고를 꼼꼼히 하게 되었다고 전합니다.
✅ 홈택스 신고가 어려울 땐?
홈택스 이용이 어렵다면, 세무 대행 앱을 활용해도 좋아요.
삼쩜삼, 헬로택스, 토스 세금환급 등에서 자동 연동과 예상 환급 계산 기능을 제공합니다.
단, 수수료가 있으므로 환급액 대비 비교 후 이용하세요.
✅ 신고 이후 단계도 중요합니다!
신고를 끝냈다고 안심하면 안 됩니다. 반드시 ‘접수 완료’ 상태인지 확인하고, 입력된 계좌 정보가 정상 계좌인지도 점검해야 해요.
특히 작년 계좌가 자동 입력되는 경우가 많아, 폐업계좌나 타인 명의 계좌로 등록되는 실수도 발생합니다.
📌 Q&A 정리
Q. 홈택스 로그인은 공인인증서 필수인가요?
A. 현재는 간편인증(카카오, 패스 등)도 가능해졌습니다.
모바일 손택스로도 신고 가능합니다.
Q. 신고 안 하면 세무조사 대상인가요?
A. 자동은 아니지만, 무신고자는 국세청 사후 관리 대상으로 분류될 수 있어요.
특히 수입 대비 지출이 많은 프리랜서는 주의해야 합니다.
📌 종합소득세는 ‘신고 전’보다 ‘신고 후’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.
실수 없이 환급까지 받으려면, 아래 글도 함께 참고해보세요👇
'세금 & 신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월 종합소득세 실수 TOP3 (0) | 2025.04.10 |
---|---|
5월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총정리 (2025 최신판) (0) | 2025.04.10 |
연말정산 추가 환급 방법 2025년 최신 가이드 (0) | 2025.03.13 |
직장인 간이사업자 부업, 세금폭탄 피하는 필수 체크리스트! (0) | 2025.03.13 |
퇴직금 IRP 계좌 이점 5가지! 절세 혜택까지 완벽 정리 (0) | 2025.02.24 |